산행일자 : 2022.09.29 (음력 9/4) 1195차 (2022년 66차) 목요일.
날 씨 : 부산 맑음 18.6 / 27.2도
산행인원 : 2명.
산행코스 : 진시장~증산공원~상해거리~용두산공원~국제시장~깡깡이마을~절영산책로입구.
교 통 편 : 대중교통
09:45 부산진시장
10:45 증산공원
11:35 수정초등학교
12:20 유치환 우체통
12:55 수정시장(점심 30분)
13:25 차이나타운
14:14 용두산공원
15:04 국제시장
17:45 영도다리
16:42 흰여을마을거점센타
갈맷길 3코스 3-2 구간 15.8Km.
도상거리 15.46Km.
소요시간 휴식 포함 6시간 48분.
갈맷길 총거리 700리, 278.8Km.
누적거리 80.94Km.
※ 갈맷길 일부 이탈 구간이 있을 수 있다.
▼범일 2동 행정복지센터 앞 인증대, 횡단보도 건너 부산진시장 방향으로 갑니다.
▼ 부산진시장 지하 도로 통과 후 좌천동으로 갑니다.
▼ 정공단 둘러보고 갑니다. & 안내판도 살펴보고 갑니다.
▼ 충장공 정발 전망비. & 안내판도 살펴본다.
▼ 공덕비 들.
▼ 충장공 정발 장군비.
▼ 정발의 막료 이정현비, 전망제공비, 충복용월비. & 정발비 & 열녀애향비.
▼ 독립운동가 정오연 생가터 둘러봅니다.
▼ 왕길지(겔슨 엥겔, Gelson Engel, 1868년 10월 10일-1954년 8월 16일)은 대한
민국의 선교사였다.
그는 인도와 호주에서 그리고 마지막은 부산지역에서 선교사를 하였으며, 조선예
수교 장로 회신학교와 숭실대학교에서 교수를 하였다. 1900년 10월 29일 부산으
로와 1937년 3월 25일 한국을 떠나기까지 36년 5개월간 부산(1900-1919)과 평양
(1919-1937)에서봉사했던 위대한 선교사였다.
▼ 부산진교회.
▼ 부산진 교회 담벼락에 독립선언문과 3.1운동 민족대표 33인.
▼ 부산진 일신여학교(3.1 독립운동의 거점이 되었던 곳).
▼ 안용복 기념관. & 안용복 장군의 도일선.
▼ 연동 떡 방앗간 집이 안용복 장군 생가다.
우리 땅 독도를 지킨 안용복
독도는 우리 땅이니 더 이상 넘보지 마라!
▼ 안용복 장군 기념관 바로 앞 경사형 엘리베이터 타고 올라갑니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쌓은 옛 성곽 일부가 남아 있는데 이를 증산왜성이라 부른다. & 증산공원 정자 전망대.
▼ 문현동 금융빌딩과 황령산 방향.
▼ 증산공원 입구에서 조망되는 범천 2동, 범일 1동.
▼ 동구 성북시장.
▼ 수정 5동에서 바라본 부산항 조망. & 수정초등학교.
▼ 가파른 계단길도 올라갑니다.
▼ 구봉산 조망.
▼ 유치환의 우체통, 유치환(출생, 사망) 1908. 경남 통영 ~ 1967. 부산.
▼ 유치환의 우체통 전망대, 높은 빌딩과 차 후 북항재개발이 되면 조망은 더 방해가 되겠다.
▼ 민주공원 충혼탑이 보인다.
▼ 초량 수정사 & 재래식 물 펌프 모형.
▼ 칸나 꽃과 야자나무가 어우러져 이국적으로 보인다.
▼ 초량전통시장 & 돼지국밥으로 에너지 보충하고 갑니다.
▼ 초량 차이나타운.
▼ 중구 동광동 거리.
▼ 백산 안희제 선생 기념관 둘러 보고 갑니다.
▼ 용두산공원 다이아몬드 타워가 보인다. & 갈맷길 중간 인증대.
▼ 이순신 장군 동상.
▼ 휴식하고 있는 시민들.
▼ 노란 은행잎 떨어질 때쯤 와봐야겠다.
▼ 내부 공사 중이다. & 보수동 책방 안내판.
▼ 대청사거리, 자갈치 방향으로 갑니다.
▼ 국제시장.
▼ 부평동 깡통시장.
▼ 남포동 거리 & 씨앗 호떡 하나 먹고 갑니다.
▼ BIFF광장 풍경.
▼ 자갈치 시장 노점.
▼ 자갈치 시장.
▼ 남항 유람선 선착장.
▼ 유라리광장.
▼ 피난민 가족 조형물에서 사진 찍고 갑니다.
▼ 영도대교 건너갑니다.
▼ 영도다리에서 바라본 남항과 천마산.
▼ 현인 동상.
▼ 영도구 대평동 깡깡이 마을 가는 길 풍경. & 남항 계류장.
▼ 깡깡이 마을 안내센터.
▼ 영도 대평동에서 바라본 영도 대교와 롯데백화점.
▼ 조선소에서 수리 대기 중인 선박들. & 자갈치 방향 풍경,
▼ 국제 선용품 유통 센터. & 남항.
▼ 남항 방파제 해안 산책로는 힌남노 태풍 피해로 인해 막아 놓았다.
▼ 남항대교 방향 풍경.
▼ 절영 산책로 이 증대, 해안산책로 보수공사 차량이 드나 던다.
▼ 카페마렌 전망대.
▼ 카페 전망대에서 바라본 남해바다.
▼ 10월 1일부터 흰 여울 해안 터널까지 임시 개방할 계획이라고 한다.
'갈맷길 700리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맷길 4코스 4-1구간(흰여울거점센터~송도암남공원~감천항) (0) | 2022.10.04 |
---|---|
갈맷길 3코스 3-3구간(흰여울문화센타~중리선착장~아미르공원) (0) | 2022.10.02 |
갈맷길 3코스 3-1구간(오륙도~UN기념공원~부산진시장) (0) | 2022.09.23 |
갈맷길 2코스 2-2구간(민락교~어울마당~오륙도선착장) (1) | 2022.09.20 |
2022 가을 갈맷길 걷기 (2) | 2022.09.17 |